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1. 자격 개요
건축설비기사는 건축물 내에서 사용되는 급수, 배수, 환기, 난방, 냉방, 소방, 위생, 자동제어 등의 설비시스템을 설계·시공·감리·유지관리할 수 있는 기술 인력을 인증하는 자격입니다.
건축물의 기능성과 쾌적성, 에너지 효율성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인 분야로 기계+건축+환경+안전을 융합한 전문 기사 자격입니다.
2. ✅ 응시 자격
- 관련학과 4년제 졸업자 또는 졸업예정자
- 동일·유사 직무 분야 4년 이상 실무 경력자
- 산업기사 자격 소지자 + 1년 이상 실무
관련학과 예시: 건축설비공학, 기계공학, 건축공학, 냉동공조학과 등
3. 시험 구성
📘 필기시험 (객관식)
- 건축일반 및 건축법규
- 건축설비일반
- 공기조화설비
- 위생설비
- 소방 및 자동제어설비
과목당 20문항 / 총 100문항 / 60점 이상 합격
🛠️ 실기시험 (필답형)
- 형식: 서술형, 계산형 혼합
- 내용: 설비계획, 도면작성, 배관설계, 열원 계산 등
100점 만점 중 60점 이상 합격
4. 주요 수행 직무
✅ 직무 예시
- 건축물 설비 시스템 설계 및 도면 작성
- 공조, 급배수, 위생, 냉난방 설비 시공 관리
- 건축법 기준에 맞는 설비 계획 수립
- 소방 및 자동제어 설비 설계
- 설비 유지보수 및 에너지 관리
✅ 다루는 분야
- 기계 설비 · 위생설비 · 냉난방 · 공조 · 자동제어 · 소방
5. 활용 분야
✅ 취업처 예시
- 건축 설비 설계사무소
- 건설회사, 종합건설기업
- 소방·전기·기계설비 전문업체
- 공공기관(시설관리/공조시스템)
- 에너지, 플랜트, 주택, 스마트빌딩 산업
✅ 담당 직무
- 설비 설계 기술자
- 건축설비 감리자
- 에너지 절감·친환경 설비 전문가
6. 📈 전망 및 현실적 분석
✅ 자격증 전망
- 지속적인 건축물 고도화 → 설비 기술자 수요 증가
- 친환경 건축물(BEMS, ZEB) 확대 → 자동제어 전문성 요구 ↑
- 소방, 위생, 냉난방 등 전천후 기계설비 기술자로 활용도 높음
- 👍 장점: 다양한 산업과 연결됨 (건축, 기계, 환경, 에너지)
- ⚠️ 단점: 단순 자격 취득만으로 고연봉 어려움 → 실무경험 중요
- 💡 조언: CAD·BIM·냉동기술·소방자격 병행 시 시너지 극대화
7. 커리어 확장 로드맵
단계 | 자격증 | 활동 분야 |
---|---|---|
입문 | 건축설비산업기사 | 설비 보조, CAD 도면 작성 |
중급 | 건축설비기사 | 설계/시공 관리자, 공조시스템 기술자 |
상급 | 소방설비기사, 에너지관리기사 | 안전관리, 에너지 절감 설계, 공공기관 진출 |
전문 | 기계설비기술사 / 건축기계설비기술사 | 기술책임자, 감리총괄, 정부 기술 자문 |
8. ✅ 종합 요약
항목 | 내용 |
---|---|
자격명 | 건축설비기사 |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큐넷) |
응시자격 | 관련 학과 졸업 또는 실무 4년 이상 |
시험과목 | 필기 5과목 / 실기 필답형 |
활용분야 | 설비설계, 감리, 유지관리, 에너지 효율 개선 등 |
전망 | 스마트빌딩, 친환경건축 증가로 수요 상승 |
ChatGPT 의견 | 설비 기술과 자동제어 융합 능력자에게 매우 유리한 자격 |
🔗 참고 링크: 큐넷 – 건축설비기사 자격정보
아래는 건축설비기사 시험 준비를 위한
✅ 과목별 기출 키워드 요약
✅ 실기 계산문제 유형 정리
✅ 8주 완성 커리큘럼 & 학습 일정표입니다.
1. 📘 과목별 기출 키워드 요약
과목명 | 기출 키워드 | 출제 비중 |
---|---|---|
건축일반 및 법규 | - 건축물 용도별 구조 기준 - 방화구역 / 대피구역 / 환기 - 건축법상 설비 설치 의무 - 용적률, 건폐율, 피난설비 기준 |
★★★☆☆ |
건축설비 일반 | - 기계설비 기본 구성 - 급수/배수 시스템 흐름 - 열원·열교환기 개념 - ZEB, BEMS 관련 |
★★★★☆ |
공기조화 설비 | - 냉방부하/난방부하 계산 - 냉매 사이클 / 압축기 종류 - 전열/현열/습도 / 송풍량 - 공기조화 장치 구성 |
★★★★★ |
위생설비 | - 급수/급탕/배수 관경 산정 - 트랩, 통기관 구조 - 위생기구 배치 기준 - 오수/우수 분리 |
★★★★☆ |
소방 및 자동제어 설비 | - 연기감지기/열감지기 원리 - 화재경보장치 구성 - 자동제어 계통도 - DDC, 센서 제어방식 |
★★★☆☆ |
2. 🧮 실기시험 계산문제 유형 정리
✅ 주요 출제 계산 문제 TOP 7
문제 유형 | 출제 포인트 | 필수 공식 |
---|---|---|
1. 냉방부하 계산 | 일사, 조명, 사람, 기기 열량 포함 | Q = U × A × ΔT, Q = m × Cp × ΔT |
2. 송풍량 산정 | 건물 체적 기준, 환기횟수 적용 | Q = V × ACH / 60 |
3. 급수관경 산정 | 동시사용률, 유량계산 적용 | Q = A × V, D유도 공식을 사용 |
4. 펌프 동력 계산 | 양정 + 효율 고려 | P = ρ × g × Q × H / (η × 1000) |
5. 난방부하 계산 | 열손실 고려, 창호·벽면 포함 | Q = U × A × ΔT (구조별) |
6. 압력 손실 계산 | 배관 길이 + 마찰계수 | hf = f × (L/D) × (v²/2g) |
7. 소방 수요 산정 | 주거/상업시설 기준 적용 | 면적당 유량, 압력 기준표 활용 |
📌 팁
- 단위 통일 필수 (kcal ↔ kW, ㎥/h ↔ L/min 등)
- 도면 기반 조건 읽기 → 적용 공식 선택 순서화 연습
- 공식 유도형 문제 대비, 기본 개념 정리 필수
3. 📅 8주 완성 커리큘럼 & 학습 일정표
주차 | 학습 내용 | 목표 |
---|---|---|
1주차 | - 시험 구조 이해 - 필기 5과목 개요 정리 - 실기 기출문제 개관 |
전반적 흐름 파악 |
2주차 | - 건축일반 + 법규 집중 - 필기 기출 1회차 풀이 - 냉방부하 계산 기본 훈련 |
이론 + 실기 계산 시작 |
3주차 | - 공기조화 + 위생설비 이론 - 공식 암기 카드 제작 - 급수·송풍량 산정 문제 풀이 |
이론 정리 + 계산 실전 적용 |
4주차 | - 소방설비 + 제어설비 정리 - 실기 요약노트 정리 - 펌프 동력·압력손실 계산 연습 |
전체 범위 1회 정리 |
5~6주차 | - 필기 기출 3~5회 풀이 - 실기 과년도 주관식 풀이 - 오답노트 작성 |
문제 유형 반복 + 약점 파악 |
7주차 | - 실기 핵심 계산 집중 훈련 - 도면 기반 문제 해석 훈련 - 예상 문제 1세트 실전 풀이 |
실기 실전 감각 습득 |
8주차 | - 필기 최종 정리 (요약노트) - 실기 기출 1~2회 완전 복습 - 마인드 정리 & 컨디션 조절 |
완성도 ↑ + 시험 준비 마무리 |
✅ 정리 TIP
- 계산문제는 공식 → 단위 확인 → 치환 순서 반복 훈련
- 필기는 기출 5개년 반복 + 암기노트 정리가 핵심
- 실기는 핵심공식 + 도면 적용 순서 익히기가 중요
🔗 참고 링크: 큐넷 – 건축설비기사 기출문제 및 출제기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