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격 개요
가스기능사는 산업현장에서 고압가스 및 도시가스의 생산, 저장, 운송, 사용 설비의 시공 및 안전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기초 기술자를 양성하기 위한 국가기술자격증입니다.
가스 사고 예방과 안전관리를 위한 핵심 인력의 역할을 하며, 가스 관련 산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첫 진입 자격증으로 널리 활용됩니다.
2. 응시자격
- 학력, 연령, 경력 제한 없음
- 누구나 응시 가능 (고등학생, 군인, 일반인 포함)
3. 시험 정보 (필기 + 실기)
📘 필기시험 (객관식 4지선다형)
- 1과목: 연소공학
- 2과목: 가스설비
- 3과목: 가스안전관리
총 60문항 (각 과목 20문항), 과목당 40점 이상, 평균 60점 이상 합격
🛠️ 실기시험 (작업형)
- 배관 시공, 용접, 가스 용기 취급법 등 실기 작업 수행
- 100점 만점 중 60점 이상 합격
📅 2025년 시험 일정 (예상)
회차 | 필기시험 | 실기시험 |
---|---|---|
1회 | 2~3월 | 4월 |
2회 | 5~6월 | 7월 |
3회 | 8~9월 | 10월 |
4회 | 11월 | 12월 |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시험 일정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4. 가스기능사의 하는 일
✅ 주요 직무
- 고압가스 및 도시가스 설비의 설치 및 시공
- 배관 작업 및 용접
- 가스 누설 점검 및 안전관리
- 가스 계량기, 조정기, 기화기 등의 장비 점검 및 유지보수
- LPG, LNG 등 가연성 가스 취급 및 운반
✅ 사용 도구 및 장비
- 가스토치, 용접기, 배관기구
- 가스누설 탐지기, 압력계, 절단기
5. 취업 분야
✅ 주요 취업처
- 도시가스 및 LPG 관련 시공업체
- 건설사 기계설비 부문
- 보일러 및 열관리 시공업체
- 플랜트 및 배관 시공회사
- 산업단지 내 가스 설비 운영부서
✅ 자격증 활용
-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 상 가스사용시설 시공자 등록 시 필요
- 가스기능사를 취득하면 가스산업기사 응시자격에도 활용 가능
6. 미래 전망
✅ 산업 수요
- 가스는 에너지 산업의 기초 인프라로 꾸준한 수요 유지
- 소형 LPG·도시가스 설비는 지방 및 노후주택에도 확대 중
- 산업용 플랜트 및 발전소 내 가스 배관 및 유지관리 인력 상시 필요
✅ 안정성과 확장성
- 가스안전관리자는 법적으로 선임이 의무화되어 있어 고용 안정성 높음
- 운용기능사 → 산업기사 → 기능장으로 자격 체계 확장 가능
7. ✅ 종합 요약
항목 | 내용 |
---|---|
자격명 | 가스기능사 |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큐넷) |
응시자격 | 학력·연령 제한 없음 (누구나 가능) |
시험과목 | 필기 3과목 / 실기 작업형 |
취업분야 | 도시가스 시공, 가스배관 설치, 안전점검, 플랜트 설비 등 |
전망 | 법적 안전관리자 수요 지속, 에너지 인프라 유지에 필수 인력 |
관련 링크: 큐넷 Q-Net - 가스기능사 자격정보 및 시험일정
보일러 / 배관 / 가스 관련 자격증 비교 분석
산업설비, 에너지, 건축설비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는 자격증인 보일러기능사, 배관기능사, 가스기능사의 핵심 정보를 표로 비교하여 정리하였습니다.
✅ 3대 설비 자격증 핵심 비교표
항목 | 보일러기능사 | 배관기능사 | 가스기능사 |
---|---|---|---|
주요 분야 | 보일러 설치 및 운전 | 배관 시공 및 설계 | 가스 설비 시공 및 안전관리 |
응시자격 | 제한 없음 (누구나 가능) | 제한 없음 (누구나 가능) | 제한 없음 (누구나 가능) |
필기 과목 | 보일러 일반, 연소공학, 기기운전 | 배관일반, 배관재료, 안전관리 | 연소공학, 가스설비, 가스안전관리 |
실기 형태 | 작업형 (보일러 운전 조작) | 작업형 (배관설치 및 용접) | 작업형 (가스배관 및 취급작업) |
난이도 (체감) | ★★☆☆☆ (기초 이론 + 조작) | ★★★☆☆ (실기 손기술 비중↑) | ★★★☆☆ (이론+작업 혼합) |
현장 수요 | 건물 보일러, 산업체 열관리 필수 | 건축/플랜트 배관공사에 상시 필요 | 도시가스, 고압가스 설비 법정 관리인 |
취업 활용도 | 난방설비 회사, 아파트/건물 관리 | 건설현장, 배관설계·시공업체 | 도시가스/가스안전공사/시공업체 |
법적 효력 | 보일러 취급자 선임 자격 | 없음 (실무 능력 위주) | 가스안전관리자 법적 선임 가능 |
연계 자격 | 보일러산업기사, 열관리기사 | 배관기술사(건축설비 경력 포함) | 가스산업기사, 가스기사 |
📌 자격별 특징 요약
🛠️ 보일러기능사
- 난방, 온수, 증기 관련 설비 운전 및 관리
- 공공시설, 병원, 호텔, 아파트 등에서 수요 많음
- 에너지관리기사, 보일러산업기사로 연계 가능
🧰 배관기능사
- 건축물 및 공장 배관설비의 설치·도면 해독·시공능력 중심
- 용접 실기 능력이 중요
- 플랜트, 조선, 건축 분야에서 수요 지속
🔥 가스기능사
- 도시가스, 고압가스 등 가연성 가스의 안전 시공 및 유지관리
- 가스안전관리법상 관리자로 법적 선임 가능
- 가스산업기사, 가스기사 등 상위 자격과 연계 유리
✅ 어떤 자격증을 선택할까?
- 에너지관리·시설관리 취업 희망 → 보일러기능사
- 건설현장, 배관·시공 기술 익히고 싶다면 → 배관기능사
- 가스설비 업체 취업, 안전관리 직무 원한다면 → 가스기능사
이 세 자격증 모두 기초 기술자 → 중간 관리자 → 전문기술인으로 성장하는 기반이 되며, 실제 산업현장에서 매우 유용하게 쓰입니다.
관련 정보 확인: 큐넷(Q-Net) 자격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