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피쉬본 선인장(Fishbone Cactus, Epiphyllum anguliger)은 독특한 물결 모양의 줄기가 특징적인 다육식물로, 선인장과 이지만 열대 우림 환경에서 자라는 착생 선인장입니다. 일반적인 건조한 사막 선인장과는 다른 습한 환경을 좋아하며, 관리 방법도 조금 다릅니다. 이 글에서는 피쉬본 선인장의 특성, 초보자가 흔히 하는 실수와 해결 방법, 번식 방법과 장단점, 대품으로 키우는 방법, 자라기 좋은 환경을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피쉬본 선인장

    1. 피쉬본 선인장의  생육 조건

    ✅ 피쉬본 선인장

    • 물고기 뼈 모양의 잎: 지그재그 형태의 잎이 독특하여 장식용으로 인기가 많음
    • 공중 습도를 좋아함: 일반적인 선인장보다 습도를 필요로 함
    • 밤에 개화하는 꽃: 적절한 환경에서 크고 향기로운 흰색 또는 분홍색 꽃을 피움
    • 공기 정화 효과: 실내 유해 물질을 제거하고 공기 질 개선

    ✅잘 자라는 환경

    • 빛: 밝은 간접광에서 가장 잘 자람 (직사광선은 피할 것)
    • 온도: 18~28℃의 따뜻한 환경을 선호하며, 10℃ 이하에서는 성장이 둔화됨
    • 습도: 50~70%의 높은 습도를 유지해야 건강하게 성장
    • 토양: 배수가 잘되는 선인장 전용 흙(피트모스+펄라이트+마사토 혼합) 사용

    2. 키우는 법: 물 주기와 관리법

    ✅ 물 주기 방법

    • 여름철(성장기): 주 1~2회 충분한 물을 줌
    • 겨울철(휴면기): 2~3주에 한 번 정도 적당한 물 공급
    • 배수구가 막히지 않도록 주의하고, 과습을 피할 것

    ✅ 건강한 성장을 위한 관리 팁

    • 화분을 밝은 간접광이 드는 곳에 배치
    • 잎에 먼지가 쌓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닦아주기
    • 여름철에는 잎에 가벼운 분무를 해주어 습도를 유지

    3.번식 방법

    ✅ 삽목(잎꽂이) 번식 방법

    • 건강한 잎을 10~15cm 길이로 잘라 1~2일간 건조
    • 배수가 좋은 흙에 바로 심거나, 물꽂이를 한 후 뿌리가 나오면 흙에 옮겨 심음
    • 약 3~5주 후 뿌리가 내리면서 정상적으로 성장 시작

    4. 키울 때 주의할 점 (병해충 예방 및 해결 방법)

    ✅ 잎이 노랗게 변할 때

    • 원인: 과습 또는 영양 부족
    • 해결책: 물 주는 횟수를 줄이고, 배수성을 개선하며 적절한 비료 사용

    ✅ 잎 끝이 마를 때

    • 원인: 습도 부족 또는 빛 부족
    • 해결책: 자주 분무하거나 가습기를 사용, 반그늘에서 키우기

    ✅ 해충(응애, 깍지벌레 등) 발생 시

    • 해결책: 주기적으로 잎을 닦아주거나 천연 살충제 사용

    5. 특성

    • 학명: Epiphyllum anguliger
    • 원산지: 멕시코 열대우림 지역
    • 생육 형태: 착생 식물 (나무나 바위 위에 붙어 자람)
    • 잎 특징: 지그재그 형태의 납작한 줄기 (이 줄기가 잎 역할 수행)
    • 개화: 밤에 꽃이 피며, 주로 크림색 또는 연한 노란색 꽃을 피움
    • 내한성: 약함 (최저 10℃ 이상 유지 필요)
    • 햇빛 요구량: 밝은 간접광을 선호 (직사광선은 피해야 함)

    6. 초보자가 흔히 하는 실수와 해결 방법

    ① 과습으로 인한 뿌리 썩음

    • 실수: 선인장이라고 생각하고 배수가 불량한 흙에 심거나, 물을 너무 자주 줌.
    • 해결 방법: 배수가 잘되는 흙(마사토, 펄라이트 포함) 사용, 화분 바닥에 배수층 추가.
    • 유의할 점: 물주기는 흙이 완전히 마르면 충분히 주는 방식으로 조절.

    ② 빛 부족

    • 실수: 선인장이라 강한 햇빛을 필요로 한다고 생각하고 직사광선 아래 두거나, 반대로 어두운 곳에 둠.
    • 해결 방법: 강한 직사광선은 피하고, 밝은 간접광에서 키우기 (6~8시간).
    • 유의할 점: 너무 어두운 곳에 두면 성장이 둔화되고 웃자람 발생.

    ③ 잘못된 화분 선택

    • 실수: 물빠짐이 좋지 않은 화분(유리, 플라스틱 무배수 화분)을 사용.
    • 해결 방법: 테라코타 화분이나 배수구가 있는 화분 사용.

    ④ 영양 부족

    • 실수: 비료를 너무 적게 주어 성장 속도가 느려짐.
    • 해결 방법: 봄~가을에는 한 달에 한 번 희석한 다육식물 전용 비료 사용.

    7. 피쉬본 선인장의 번식 방법과 장단점

    ① 줄기 절단 번식 (Stem Cutting)

    • 방법: 건강한 줄기를 잘라 2~3일 건조 후 흙에 심어 뿌리 내림.
    • 장점: 번식이 빠르고 성공률이 높음.
    • 단점: 초보자가 절단 후 바로 심으면 썩을 가능성이 있음.

    ② 씨앗 번식

    • 방법: 성숙한 피쉬본 선인장에서 씨앗을 받아 배양토에 파종.
    • 장점: 대량 번식 가능.
    • 단점: 발아율이 낮고 성장이 매우 느림 (몇 년 소요).

    ③ 공중 삽목 (Air Layering)

    • 방법: 줄기 일부에 수태를 감싸 뿌리를 형성한 후 분리.
    • 장점: 뿌리가 미리 형성되므로 적응이 빠름.
    • 단점: 시간이 오래 걸리고 관리가 필요함.

    8. 피쉬본 선인장을 대품으로 키우기 위한 관리

    ① 적절한 화분 크기 선택

    • 성장 속도가 빠르므로 작은 화분에서 너무 오래 키우면 성장 제한.
    • 1~2년에 한 번씩 한 사이즈 큰 화분으로 분갈이.

    ② 빛과 통풍 관리

    • 밝은 간접광에서 키우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 배치.
    • 과습 방지를 위해 공기 흐름이 원활해야 함.(물 주고 난 뒤 환기를 해야 과습 방지, 서큘레이터 사용)

    ③ 적절한 물주기

    • 흙이 완전히 마르면 충분히 물을 주고, 과습 방지.
    • 겨울철 휴면기에는 물 주기 횟수를 줄임.

    ④ 영양 공급

    • 봄~가을에는 한 달에 한 번 다육식물용 비료 사용.
    • 질소(N)가 많은 비료를 과하게 주면 웃자람 발생.

    9. 피쉬본 선인장이 잘 자라는 환경

    • 햇빛: 하루 6~8시간 밝은 간접광 (강한 직사광선 피해야 함).
    • 온도: 18~30℃가 이상적 (10℃ 이하에서는 생육이 둔화됨).
    • 습도: 50% 이상 유지가 좋음 (너무 건조하면 성장 둔화됨).
    • 흙 배합: 배양토 50% + 펄라이트 20% + 마사토 20% + 피트모스 10%.

    6. 결론

    피쉬본 선인장은 일반적인 사막 선인장과 달리 습한 환경을 선호하는 착생 선인장으로, 배수가 잘되는 흙과 적절한 습도 유지가 중요합니다. 초보자가 흔히 하는 실수로는 과습, 빛 부족, 잘못된 화분 선택이 있으며, 번식 시 줄기 절단이 가장 흔하게 사용됩니다. 대품으로 키우기 위해서는 적절한 화분 크기와 정기적인 분갈이, 균형 잡힌 빛과 통풍 관리가 필요합니다. 위의 가이드를 따르면 건강한 피쉬본 선인장을 키울 수 있습니다.

    반응형